본문 바로가기
Notes

동전던지기 무작위성은 착각!

by 올드뉴스 2023. 12. 23.

18세기 수학자 조르주루이 드 뒤퐁 백작 동전 2048번 던져 통계 실험, 19세기 칼 피어슨이 동전 2만4000번 던지기해 1만2012번이 뒷면, 20세기 영국 수학자 존 케리치가 동전 1만번 던져 5067번이 앞면 나오는 실험.

 

2007년 스탠포드 수리통계학과 디아코니스 교수 

동전 던기기 고속 촬영을 통해 처음 위를 향한 면이 같은 면으로 떨어질 확률이 51% 정도인 것을 밝혀 냄. 이때 동전의 면, 높이, 움직임을 모델한 D-H-M 모형을 제시.

 

2009년 캐나다 브맅시컬럼비아 연구팀, 간단한 훈련만으로 동전 던지기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고 밝혀냄

 - 던질 때 높이, 속도, 회전수, 손에 잡는 방식의 훈련으로 가능

 

최근 암스테르담대가 주도한 유럽 연구팀이 총 35만757번 동전 던지기 실험 수행해 D-H-M 모형 검증했다.

 - 46개 종류 동전을 실험 참가자 48명이 던져 실험.

 - 위로 향한 면이 같은 면으로 떨어지는게 17만8078번으로 50.8% 정도로 디아코니스 실험 수치와 유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3007

 

[주말N수학]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제공앞면이냐 뒷면이냐! 온전히 운에 맡긴 결정을 하고 싶을 때 우린 ‘동전 던지기’를 한다. 어떠한 편견도실력도꼼수도 통하지 않는 공정한 의사 결정 방식이란 믿음 때문이다. 하

www.dongascience.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