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dustries

24년 1,2월 - FED 금리인하 시기에 대한 발언들.

by 올드뉴스 2024. 2. 10.

미 연준은 2022/3월 부터 11차례에 걸쳐 연방기금(FF) 금리 목표치를 0~0.25%에서 5.25~5.5%로 유지중

 

2/8 - 연준의 신중한 금리인하 지지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준,

워싱턴DB 이코노믹 클럽 연설 "우리가 원하는 곳 도달하기 위해 인내심 가져야", "현 시점 정책변화의 실익을 따져, 여전히 인플레이션 집중 유리"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이사

"물가 상승률 목표치 2%에 안정적 도달 확실까지 물가에 집중"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402080029&t=NN

 

연준 신중한 금리인하 대세파월 지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3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다고 조기 금리인하 가능성을 일축한 뒤 연준 구성원들 사이에서 연이어 이에 동조하는 발언이 나오고 있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

www.wowtv.co.kr

 

2/7일, 메스터 연은 총재 - "올해 말이나 금리인가가 가능할 것"

"

 

https://www.news1.kr/articles/5314468

 

메스터 연은 총재 “올해 말에나 금리인하 가능”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6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올해 말에나 금리인하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www.news1.kr

 

2/8 - 인하 시작 시점이 올해 2분기 될 것 같다는 글로벌 IB 의견.

 

글로벌 IB 10곳 중 5곳이 2분기, 3곳이 3분기, 2곳이 4분기 내릴것으로 의견.

 

https://www.yna.co.kr/view/AKR20240207159100002?input=1195m

 

"美 금리인하 2분기부터"…글로벌 IB 10곳 첫 '만장일치'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작 시점이 올해 2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에 글로벌 투자은행(IB) 의견이 일치한다고 ...

www.yna.co.kr

 

 

2/5 - 미국채 10년물 4.1% 다시 도달 - 파월 금리인하 신중

파월 CBS 인터뷰 "경제가 튼튼한 만큼 언제 기준금리를 인하할지 조심스럽게 접근"

닐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 "최근 경제 데이터가 긴축적이지 않음 확인, 현 통화정책 지지"

 

 

https://www.yna.co.kr/view/AKR20240206014451072?input=1195m

 

美 10년 국채금리 4.1%대로 급등…파월 "금리인하 신중 접근"(종합)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기준금리 인하를 조심스럽게 접근하겠다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 여파로 5일(현...

www.yna.co.kr

 

 

 

1/4, 스티브 아이즈먼,

 

"경기침체가 없다면 연준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낮춰야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1980년대 폴 볼커 연준 의장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금리인하 수위를 조절할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42099?sid=101

 

'빅쇼트' 스티브 아이즈먼 "美 연준, 올해 금리 한번만 내릴 것"

마이클 버리와 함께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으로 알려진 스티브 아이즈먼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에 선을 긋고 나섰다. 3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아이즈먼은

n.news.naver.com

 

 

현재 FED Watch

 

https://www.cmegroup.com/markets/interest-rates/cme-fedwatch-tool.html

 

CME FedWatch Tool - CME Group

Count down to the next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rate hike with the CME FedWatch Tool, based on the Fed Funds target rate. View the tool.

www.cmegroup.com

 

 

메르의 블로그

https://blog.naver.com/ranto28/223326038946

 

연준은 금리를 언제 내릴까?(feat 테이퍼링, 양적긴축,QT,역레포)

조금 머리 아픈 내용이라서, 평소보다는 짧게 정리해 봅니다. 쉽게 풀어쓴다고 했는데, 그래도 어려울수 있...

blog.naver.com

 

 

1. 2024년 QT 위해서는 역레포 + 은행 지준율이 명목 GDP의 10% 도달해야 한다고
 - 2023/11 은행들 지준 34000억 달러, 명목 GDP 273600억 달러이다.
 - 2024년 미국 명목으로 4% 성장이라면 은행지준율 10% 기준이면 2024/5월 예상
 - 역레포+은행지준 10% 기준이면 더 늦춰진다
 - 역레포 잔고 2.1조+지준=5조달러라서 4% 성장한 GDP 10% 도달하는 28450억 달러에 도달하려면 늦춰지게 된다.

2. 금리인하는 QE로 만든 유동성을 QT 테이퍼링 -> QT 종료의 흐름
 - 물이 꽉찬 욕조의 물을 빼려면 수도꼭지를 잠그고 빼야 하는 순서 처럼.
 - 지금 QT테이퍼링이 종료도 안했는데 금리인하라는 것은 정상적 흐름이 아니란 것!!!

3. 역레포 잔고가 2023년 1분기 23700억 달러에서 한달에 1770억 달러씩 줄며 24/1월 6031억 달러로 소진.
 - 현재 속도면 3월말경 잔고가 바닥나서 은행들의 유동성 부족이 예상
 - 그래서 3월 부터 QT 테이퍼링 시작해 6월에 QT 종료를 예상하는 시나리오.

 4. 미국 지방은행들은 연준에서 BTFP 로 돈일 빌려왔는데 3월에 BTFP도 종료
 - 역레포 감소, BTFP 종료를 감안하면 1월에 테이퍼링 언급 -> 3월 QT 테이퍼링 -> 5월 QT 종료, -> 7월 금리인하 추정 시나리오.
 - 24/1/6 델러스연준 로리 로건 총재가 QT 감축 신호탄을 알리는 연설

 

728x90

'Indust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2-17 미국 장 중 / 우리 장 시작 전  (0) 2024.02.17
[AI] ML/DL을 위한 GPU  (0) 2024.02.16
달러-엔 - 24/2월 (1)  (0) 2024.02.09
[반도체] 1Q24 가이던스와 기대치  (1) 2024.02.01
2024-01-31 미국 장 중 ...  (0) 2024.02.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