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tes

[경제/지표] 일평균 수출금액 데이터 만들기 (1) - 데이터 수집

by 올드뉴스 2022. 2. 25.

아래 있는 이전 포스트에서 일평균 수출금액에 우리 주식시장과 상관지수가 높다고 한다.

 

2022.01.31 - [경제] 2022/1/29 연합인포맥스-김영익교수 증시전망

2022.02.01 - [경제/지표] 일평균 수출금액 (업데이트)

 

2022-02-21 Hanwha Macro Monthly (2월) | 수출, 올해는 IT와 자동차 보고서를 보면 일평균 수출과 여러 지수와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 같다. 

 

여기서 일평균 수출금액과 코스피 지수에 대한 데이터를 찾아 만들어 보고 가능하면 분석까지 해보려고 한다. 이번 (1)번 글에서는 아래같이 수출입 데이터와 조업일수에 대해서 정리하고 있다.

 

1. 수출입 금액 통계

2. 조업일수

3. 정리

 

1. 수출입 금액 통계

제일 우선인 것은 관세청 통계자료실에 게시되는 속보치, 잠정치 그리고 보도자료로 나오는 확정치 보고서이다. 이들 사이에는 10일, 20일 정도의 날짜 차이가 있다. 그리로 실제 수치 데이터는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사이트의 수출입통계에서 얻을 수 있다.

 

하나. 수출입무역통계 통계자료실

 

수출입통계 사이트 https://unipass.customs.go.kr/ets/index.do 에 접속해서 통계자료실->정기간행물 을 클릭하면 월별 속보치와 잠정치를 볼 수 있다. 이 잠정치 보고가 산업자원부/국토교통부의 자료로 사용되는 것 같다.

정기간행물 게시판에는 속보치(1~20일)과 잠정치 통계가 올라온다. 

 

2022년 1월(1-20일) 수출입 현황 보고서는 아래 내용을 담고 있다.

 

2022년 1월 수출입현황(잠정치)는 1월 수출입실적과 월별 수출입현황 1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확정치

 

최종적으로 "무역통계 보도자료"에 해당월의 확정치 보고서가 올라온다. 확정치 보고서는 속보치/잠정치 보도 이후 20여일 후에 세부내역을 분석해서 자세히 나온다.

 

 

일평균 수출금액을 사용하는데는 잠정치 자료도 충분하리라 판단된다.

 

 

 

산업통산자원부의 보도자료 게시판

산업자원부는 잠정치를 받아 산업자원부 맞게 보도자료로 배포한다.

 

http://www.motie.go.kr/motie/gov3.0/gov_openinfo/sajun/bbs/bbsList.do?bbs_cd_n=81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개별 보도자료에 대한 상세문의는 보도자료에 기재되어 있는 담당부서/담당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

www.motie.go.kr

 

제목으로 "수출입" 으로 검색하면 "수출입 동향" 월별 보도자료가 나온다. 이 자료는 관세철의 "잠정치"로 보도자료를 내고 있다. 관세청 자료를 사용하면 된다.

 

 

둘. 수출입무역통계 무역통계조회

수출입금액으로 매월 제공하는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사이트를 통해서 매월 속보치, 잠정치 자료를 받을 수 있다.

https://unipass.customs.go.kr/ets/index.do

 

무역통계조회 > 수출입통계 > 수출입총괄 메뉴에서볼 수 있다.

 

월단위로 조회를 해서 화면 혹은 엑셀 파일로 받을 수 있다. 확정치 자료이다.

통계자료는 매월 15일 전월 자료 반영
무역통계 이용허락 유형은 출처표시 후 자유롭게 이용가능 한 "제1유형"에 해당됩니다

 

 

엑셀로 받은 자료 구성은 이렇다

 

 

셋.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수출입통계 > 총괄 혹은 잠정치 통계를 볼 수 있다.

 

https://www.bandtrass.or.kr/customs/total.do?command=CUS001View&viewCode=CUS00101 

 

[수출입통계] 총괄

검색결과 : 0건

www.bandtrass.or.kr

 

2. 조업일수

조업일수는 계산법은 간단합니다. 평일은 1일, 임시 공휴일을 포함한 '빨간 날'은 0일, 그리고 토요일은 0.5일로 계산한다고 한다. 토요일이라고 다 같은 토요일이 아닙니다. 평범한 토요일인 '작토(작은 토요일)', 사실상 휴일에 가까운 '큰토(큰 토요일)'가 있습니다.

예컨대 오는 10일 토요일이 '작토'라면, 추석 연휴(9월 14~16일)와 일요일(18일) 사이에 낀 17일은 '큰토'입니다. 둘 다 0.5일로 잡힌다는 점은 같지만, 17일은 다른 토요일에 비해 문 닫는 사업장이 많습니다. 10월 3일 개천절까지 3일 연휴의 시작점인 10월 1일 토요일도 큰토에 해당합니다. 금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등 3일 이상 연휴에 토요일이 포함되면 조업 일수가 0.5일 늘어도 수출은 그만큼 늘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큰토가 많을수록 수출 감소 폭도 더 크다는 뜻입니다.

[링크: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9/04/2016090402064.html

 

엑셀 일수 계산

엑셀로 작업한다면 블로그 https://shlee1990.tistory.com/404 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충분할 것 같다. NETWORKDAYS 함수를 사용해서 구할 수 있겠다.

 

엑셀 공휴일 데이터

따로 공휴일 데이터를 준비해야 할 것 같다. 블로그 https://www.oppadu.com/%EC%97%91%EC%85%80-%ED%8F%89%EC%9D%BC-%EC%A3%BC%EB%A7%90-%EA%B3%B5%ED%9C%B4%EC%9D%BC-%EA%B5%AC%EB%B6%84/ 를 참조하면 될 것 같다.

 

Open API 이용 공휴일 데이터

https://www.data.go.kr/data/15012690/openapi.do

 

한국천문연구원_특일 정보

(천문우주정보)국경일정보, 공휴일정보, 기념일정보, 24절기정보, 잡절정보를 조회하는 서비스 입니다. 활용시 날짜, 순번, 특일정보의 분류, 공공기관 휴일 여부, 명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data.go.kr

 

 

3. 정리

 

기본 수출입 금액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 관세청 수출입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집하고 "조업일수" 만 계산해서 삽입하면 될 것 같다.  이어지는 글에서 코스피 월간 지수와 차트까지 그리려고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