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tes

KOSPI200 선물스프레드 거래

by 올드뉴스 2022. 3. 8.
선물 시장의 흐름을 알기위해서 공부하는 중이다.
스프레드에 대한 개념을 찾아 보다보니
선물스프레드 거래가 있어서 정리해 보았다.

 

파생상품은 주식/채권/통화 등 기초 자산의 가치에 의해 그 가격이 결정되는 계약상의 권리를 상품화 한것이다.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파생상품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되는 장내파생상품에는 선물, 선물스프레드 및 옵션이 있다. [2]
 - 장외파생상품 : 선도, 스왑, 장외옵션 등 장내파생상품을 제외한 파생상품

 

 

우리나라 파생상품 거래 시장

 

1996년5월3일: KOSPI200 선물시장

1997년9월7일: KOSPI200 옵션시장

1999년4월23일: 선물거래소 부산 개장

2001년9월3일: KOSPI200 선물스프레드 거래제도

 

파생상품 강의장

 - http://academy.krx.co.kr/contents/ACA/02/02020100/ACA02020100.jsp

 

Academy | KRX 아카데미 | 파생상품 강의실 | 강의안내

주의본 강좌는 3개 모듈 26개 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파생상품과 제도, 파생상품거래 시의 위험성 및 위험관리에 관한 내용의 교육을 목적으로

academy.krx.co.kr

 

스프레드 거래란?

스프레드 거래는 선물시장에서 중요한 투자 수단으로 스프레드 거래는 서로 다른 선물계약을 한 투자자가 매수하고 다른 투자자는 매도함으로써 두 선물계약간의 가격변동의 차이에 따른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거래다.

 

같은 시장 혹은 다른 시장에서 선물 상품의 근월물과 원월물 사이의 가격 차이를 이용해 상대적 저평가된 선물을 매입하고 고평가된 선물을 매도해서 순포지션을 0으로 만든 후에 선물 가격이 변동시 반대매매를 해서 이익을 얻거나 만기까지 보유(roll over)하는 거래 말한다. 

 

스프레드의 종류에는 크게 상품 내 스프레드, 상품간 스프레드, 시장간 스프레드가 있다. 

 

크게 2가지 종류가 있다:

 

칼렌다 스프레드 (Calendar spread, Time spread, Intra-market spread)

기초자산이 동일한 상품이 동일 시장에서 결제월이 다른 가격차이를 이용한 거래

 

시장간 스프레드 (Inter-Market spread)

기초자산이 동일한 두 상품을 서로 다른 시장에서 가격차이를 이용한 거래

 

 

통상적으로 거래소시장에서 스프레드 거래란 동일한 기초자산을 대상으로 결제월이 다른 두개의 선물가격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레드 거래 특징

 

1. 종목간 가격 차이

 - 선물 사이의 가격변동을 이용해 이익을 얻는 구조로 개별 가격이 아닌 스프레드 포지션을 구성하는 종목간 가격차이를 중요시 여긴다.

 

2. 선물보다 낮은 위험도

순 포지션이 0 이므로 거래후 선물 변동이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도 스프레드 거래 손실이 적고, 예상데로 움직이면 이익이 발생해도 이익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3. 시장 조성자

 

스프레드 종목의 개별 유동성/가격 문제로 거래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2001년 9월3일 KOSPI200 선물스프레드 거래제도를 도입했다.

 

 

KOSPI200 선물스프레드 거래제도

선물 종목 중에서 결제월이 다른 종목간의 가격차이(스프레드)로 호가를 행해서 하나의 결제월 종목을 매수(매도)함과 동시에 다른 결제월 종목을 매도(매수)하는 거래이다. (일본 TOPIX 와 함께 세계에서 드문 제도)

 

스프레드 거래제도 목적

 

1. 선물의 포시션 이월 (roll over) 를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장기간 헷지 혹은 차월물 보유하려 할 때 근월물 수요가 감소해 차월물과 가격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 선물스프레드 거래로 근월물-차월물을 동시에 거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선물 가격의 안정과 시장의 효율성

 

근원물과 차월물의 차익거래가 가능하지만 원월물을 만기까지 가져가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  스프레드 거래로 즉시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선물 결제월 종목간 적정 가격 형성에 도움을 준다.

 

3. 포지션 거래자의 시장참여  촉진

 

스프레드 거래가 활성화 되면 원월물 유동성 확대로 포지션 이월이 원할해 진다. 포지션 이월이 원할하면 헷지 거래/차익거래 등으로 포지션 장기 보유 거래자들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4. 투자수단 제공

 

개별 선물 거래 대비해서 스프레드 거래는 위험이 작으므로 시장 급변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선물스프레드 거래를 이용한 투자

선물스프레드를 이용해 투자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선물스프레드가격은 원월물 가격에서 근월물 가격을 뺀 수치를 말하는데, 이는 KOSPI 200 선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원월물의 가격이 근월물의 가격보다 이론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1. 장기 헷지를 위한 포지션 이월 목적

현물을 보유하고 헷지를 위해서 선물(근월물) 만기시점에 현물 하락이 예상되어 매도 포지션을 보유할 경우, 보유한 매도포지션을 차근월물로 이월할 때 원월물과 근월물을 각각 매도하고 매수해야 하는데 원월물 유동성 부족시 포지션을 이월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선물스프레드 거래를 이용하면 선물스프레드 매도주문(원월물 매도, 근월물 매수)해 체결되면 근월물은 기존 포지션이 상쇄되고 차근월물 매도 포지션을 유지하게 된다.

 

 

2. 투기 목적

근월물이 고평가되고 원월물이 저평가 되어 가격차이 스프레드가 과소평가되었다고 판단시 향후 스프레드 확대를 예상하면, 투자자는 선물스프레드를 매수하고, 실제 확대되었을 때 선물스프레드를 매도해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스프레드 매수후 스프레드 확대시 매도로 이익

또한 근월물에 대해 스프레드를 매도하고 향후 원월물과 스프레드가 축소되면 선물스프레드를 매수하면 이익을 얻게된다.

 

선물스프레드 매도후 스프레드 축소시 매수

 

 

3. 선물스프레드 차익거래

 

선물스프레드 가격과 선물 시장의 칼렌다스프레드 간의 차이가 발생하면 이를 이용해 선물스프레드를 매수하고 칼렌다스프레드를 매도하는 반대 포지션으로 차익 거래를 할 수 있다.

 

 

---

이런 손익구조를 도표로 설명한 신한금융투자 선물스프레드 거래 [4]  의 내용을 가져와 보면,

 

신한금융투자 선물스프레드 거래 

 

 

주요 용어

 

근월물(Nearby Delivery month): 당월물로도 불린다.

원월물(Far Delivery month): 차월물

 

 

 

 


참고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1437 

 

[시사경제용어사전] 선물거래

선물(futures)거래란 장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할 것을 현재 시점에서 약정하는 거래로, 미래의 가치를 사고 파는 것이다. 선물의 가치가 현물시장에서 운용되는 기초자산(채권,

www.moef.go.kr

 

 

 

[2] https://law.kofia.or.kr/service/law/lawFullScreenContent.do?seq=274&historySeq=1119 

 

금융투자협회 법규정보시스템 | 장내파생상품 거래설명서 | 규정내용

장내파생상품 거래설명서* Ⅰ . 장내파생상품거래 위험고지서 장내파생상품거래는 주식, 채권 등의 현물거래와는 달리 투자위험도가 매우 높아 단기간에 커다란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

law.kofia.or.kr

 

[3] KOSPI200 先物스프레드 市場의 效率性, 2006, 권순찬

 

[4] http://m.shinhaninvest.com/edu/invest/option/strategy_03.html

 

신한금융투자

선물옵션 투자전략 A: 선물을 보면 스프레드 종목이 따로 있던데.. B: 선물종목 중 한 종목은 사고, 한 종목은 파는 거래를 스프레드라고 하는데, 이것을 정형화시켜 거래종목으로 만든 것이    

m.shinhaninvest.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