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tes

회계처리의 연구비/개발비 인정은?

by 올드뉴스 2023. 10. 26.

 

1. 연구와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은 무형의 자산으로 취급되어 외부 취득 자산과 내부 창출 자산으로 구분한다.

 

2. 기업이 수행하는 연구개발은 기업 내부 창출한 무형 자산과 관련있다.

 

3. 내부 창출 무형자산은 그 자산을 언제 인식해야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자산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4. 연구개발 활동 기간에서 어느 시점에 이르러야 결과물/기술이 수익으로 표현되는지 명확이 알 수 없다.

 

5. 그래서 기업 연구 개발 활동을 크게 연구 단계와 개발 단계로 구분하고 단계에 따라서 연구개발비, 개발비로 분리해서 회계처리해야 한다. (아래 참조)

 

연구/개발 활동 동안 사용해 지출한 금액으로 미래 성과 (기술, 제품시안, 디자인 등)로 인정되면 무형자산으로서 재무재표에 기록이 되고 구체적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판매관리비로 비용처리한다. 

 

회계적으로 무형자산으로 처리하면 개발비라고 지칭하고, 비용으로 처리할 때는 "경상연구개발비", 연구개발비/연구비 같이 쓴다.

 

6. 연구단계 제품의 미래 가능성을 위해 새 기술/지식/무형자산을 투입해 탐색하는 초기 단계를 말한다. 회계기준에 따르면 연구개발 단계 발생한 지출은 전액 발생 시점에 연구비라는 비용로 인식해야 한다.

 

7. 개발단계는 연구 활동의 결과를 상업적으로 발전시켜 가는 단계이다. 개발단계에 발생한 지출은 실제 제품화 될 수 있고, 미래 경제적 수익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개발비라는 항목의 무형자산으로 처리한다.

 

8. 만약 연구단계, 개발단계 구분이 명확치 않으면 전액 연구 단계에 발생한 지출인 비용으로 간주할 수 있다.

 

9. 즉, 연구비는 비용으로, 개발비는 무형자산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10. 무형자산인 개발비로 처리되면 자산의 증가가 된다. 

 

11. 무형자산이 된 개발비는 미래에 일정 기간 동안 나누어 순차적으로 비용으로 인식하는 무형자산 상각이 진행된다.

 

12. 무형자산이 된 상태에서 연구개발 활동이 실패해 미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낮아지면 무형자산의 가치가 하락한 것으로 본다. 이 경우 무형자산(개발비)의 장부 금액을 감소하고 그 액수만큼 손실(손상차손)으로 기록한다.

 

13. 연구비는 당기에 비용으로 처리해야 하고, 반면 개발비는 무형자산으로 감가상각을 통해 여러번에 걸쳐 나누어 비용으로 인식해서 당기 이익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4. 즉 연구에 관련한 비용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단기 이익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연구비로 처리하면 당기에 비용을 처리되어 이익이 감소한다. 개발비로 처리하면 현재 이익은 높아진다 (여러번 나누어 상각하므로)

 

 

예를 들어 보자,

 

15. 예를 들어 재개발 예정 지구의 집이 1000원 이라고 하자, 3년 안에 준비해서 4년째 착공/분양하고 5년째 입주할 수 있다고 할 때 내가 분담금으로 300원을 부담하면 미래에 700원의 프리미엄이 붙어 5년후 2000원의 자산으로 200% 성장한다.

 

16. 이 분담금 300원을 연구비로 볼 것 이냐 개발비로 처리할 것이냐의 문제이다.

 

17. 300원을 연구비로 하면 당해 비용으로 인식해 처리하면 소득세 신고시 비용으로 신고한다. 

 

18. 하지만 300원을 개발비로 하면 무형자산으로서 5년간 1/5씩 감가상각해 신고하게 되는 것이다.

 

19. 그리고 5년후 성공적으로 재개발이 진행되면 700원의 프리미엄을 얻게 되어 자산이 1700원이 되는 것이다.

 

20. 그런데 개발비로 처리하고 개발도중 엎어져서 더이상 재개발이 진행되지 않으면, 개발비 300의 나머지 액수만큼 손실(손상차손)으로 기록한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5/article_no/9562

 

[DBR] 비용이냐, 자산이냐… 회계 처리 둘러싼 논란

Article at a Glance2018년 초 도이치증권은 셀트리온이 세계 동종 기업에 비해 연구개발비를 과다하게 비용 대신 자산으로 처리해 영업이익률을 높였다면서 셀트리온 주식에 대한 ‘매도’ 의견을

dbr.donga.com

 

 

https://www.superookie.com/contents/5d12e46f8b129f3d836184b8

 

재무제표로 배우는 회계용어(1) 삼성전자 - 무형자산 개발비

넥스트챕터 넥스트챕터는 2021년 설립되어 누적 275억원의 투자 유치를 통해 약 10개 이상의 브랜드를 인수 및 운영하며, 매년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국내 최초의 브랜드 애그리게이터입

www.superookie.com

 

728x90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패턴] 강세 돌파 패턴  (1) 2023.11.22
[차트패턴] Cup-handle 형  (1) 2023.11.22
0DTE ETF : QQQY 엿보기...  (0) 2023.10.24
0DTE options ETF 알아보기  (2) 2023.10.19
2023-10-12 미국 장 마감  (0) 2023.10.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