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419

[링크] 2거래일 이상 -10% 하락과 레이달리오, 하워드막스, 더들리, 건들락 트럼프 관세에 대한 명가들의 기고 번역글 링크실제 자세한 내용은 링크 내용을 보는 것이 좋다.  레이달리오의 Don't make the mistake of thinking that what's now happening is mostly about a tariffs. https://brunch.co.kr/@camellia-wealth/30 관세가 전부가 아니다지금 일어나는 중요한 다른 문제들 | 이 글은 유명한 미국의 헤지펀드 설립자인 레이 달리오가 2025년 4월 7일 링크드인에 게시한 글을 요약 번역한 내용입니다. 지금 일어나는 일 중에 관세만 중brunch.co.kr  하워드 막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86686i 저물가·저금리 저문다…'트럼프 시대'.. 2025. 4. 9. Notes
커피의 카페인과 아데노신 시스템 우리가 활동을 하면 뇌의 지시에 따라서 신경물질로 근육을 움직이게 된다. 뇌가 에너지를 사용하면 아데노신이라는 부산물이 생성된다. 활동을 더 많이 하면 뇌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아데노신이 더 많이 생성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아데노신은 뇌에 누적되면 쌓이며 신경세포의 수용체와 결합게 된다. 아데노신이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면 뇌의 활동이 느려지고 혈관이 확장되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증가한다. 아데노신이 결합되면 뇌는 혈관을 확장해 산소를 더 많이 공급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뇌의 활동이 느려지며 혈관이 확장되면서 몸은 나른해지며 시간이 갈수록 피로를 느끼게 된다. 아데노신 시스템은 신경 전달 물질 방출을 조절하게 되는 역할을 한다. 활동이 많아지며 에너지를 너무 많이 쓰지 않도록 아데노신 방출이 많아.. 2025. 4. 8. Health
[도서] 로버트 쉴러의 경제학, 행동 재무학 톹아보기 (5) 책의 요약 내용 이외에 글쓴이의 생각 혹은 외부 설명은 파랑색 글씨를 사용했다.  후견편향 : 2008년 금융위기의 재해석 2008년 금융위기를 예로 들어보자.  위기 이후 많은 경제학자들과 금융 전문가들이 "주택 가격의 거품,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위험성, 파생상품 시장의 불안정성 등이 명백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작 위기 직전까지 이를 정확히 예측하고 경고한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인간의 뇌가 과거의 사건을 현재 관점에서 재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과거 기억을 현재에 맞춰서 수정하는 것이다. 2008년 금융위기 같이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 인지적 오류를 일으켜서 "아 그럴줄 알았어"라고 말한다.  후견편향의 문제점 1. 후견편향은 실제 위기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을 방해한다. "일어날 것을 .. 2025. 4. 7.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