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부동산9

[2024세법 개정] 양도소득세 2024년 세법개정이 있었다. https://oldnews.tistory.com/567 2024년 세법 개정2024년 세법개정안 2024. 7. 25.oldnews.tistory.com  생활에 맞닿을 부동산의 증여, 양도관련 상세 내역을 요약했다. 소유한 자산 중 증여후 가치가 상승하는 자산은 사전 증여하는게 좋다. 부동산 / 주식 등의 자산이 그럴 수 있다. 증여의 범위는 다음 같고 친족간 증여 범위를 축소하고 있다. 상속/증여세의 세율 범위의 최소한도를 2억으로 상향하고 4단계로 조정.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라서 자녀공제금액 한도를 1인당 5억으로 큰 폭으로 상향  양도소득세 부동산을 증여받고 10년내 양도시 양도소득세 이월과세가 적용되고 있다.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자산에 주식등 포함한다  수도권.. 2024. 11. 19. Life
상업빌딩 공실율은 높다는데 거주용 부동산은 반등? 미국 거주용 부동산의 총가치는 Suburban: $29.2 Trillion (+5.6% YoY) Urban: $10.1 Trillion (+3.6% YoY) Rural: $7.4 Trillion (+6.3% YoY) 2024. 3. 2. Industries
진보가 정권을 잡으면 왜 아파트 값은 급등할까? 한경 비즈니스 / 24/2월 1471호 진보가 정권을 잡으면 왜 아파트 값은 급등할까?, 김용준 편집장 진보정권 = 규제 -> 부동산 급등 보수정권 = 부양 -> 부동산 침체 모든게 귀하면 비싸지고, 흔하면 싸진다. 그러나 딱 한번 방향/타이밍이 일치한 정권과 정책이 있었다 - 노태우 대통령 시절 1. 정부 초기 아파트 값 급등 / 전세가격 급등 2. 강력한 투기 근절책 - 택지소유상한제, 개발이익환수제, 토지초과이득세 (토지공개념 3법) 3. 그리고 주택 200만호 공급 계획 (일산, 분당 ) 시장은 항상 의도를 배신했다, 민보름 기자 표만 봐선 진보 = 건설, 보수 = 재정투입? / 이번 정부는 건설+재정? 흠... 2024. 2. 23.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