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중앙은행2 금리 이해 (feat 채권) 금리 Interest rates 금리는 "돈의 값" 으로 실질적으로 이자로서 얻을 수 있다 금리가 높다는 것은 돈의 값에 붙는 이자를 크게 받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즉 현금을 가지고 있을 때 얻을 수 있는 보상이 커질 수 있다 금리가 낮다는 것은 돈의 값에 붙는 이자가 낮아진다는 의미가 된다 현금을 보유할 매력이 떨어지고 얻게 되는 보상이 낮아 진다. 금리는 각 국가별 상황에 따르기 때문에 대내적인 "돈의 값" 이다. 대외적인 돈의 값은 "환율"이 그 역할을 한다. 금리도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서 수요는 "돈"을 빌리려는 대출의 증감으로 이해할 수 있고 "돈"의 공급이 많다는 것은 빌려주는 곳이 많다고 이해하면 된다. 돈을 빌리는 방법은 크게 금융기관을 통해 빌리는 "간접금융"이 있고, 채권을.. 2024. 11. 14. Notes 11년째 매입 없는 한국은행의 금 사랑 한국은행은 김중수 총재 시절인 2011-2013년 당시에 외환보유액의 투자 다변화 목적으로 금을 집중 매입했었다. 2011년에 40t, 2012년 30t, 2013년 20t을 매입했다. 당시 90t 의 금을 매입했다. 금 시세는 2009년 즈음 저점에서 2013년까지 오르다 이후 내리 내려가기 시작했다. 이 때 온스당 1300달러 후반에서 1700달러사이에 매입한 금은 2013년 부터 떨어지기 시작해 2014년 온스당 1100달러, 2015-2016년 1000달러 수준으로 내려갔다. 금 값 하락의 충격은 IMF 트라우마가 있는 대한민국으로서 들고 일어서게 만들었다??? 2013년 부터 국회에서 질타를 받으며 매년 금 보유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한은은 그 후 더 이상 금을 매입하지 않고 장부에 남은 금.. 2024. 3. 13. Industries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