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사모펀드의 구조, 수수료 등을 알아 보았다.
https://oldnews.tistory.com/378
[도서] 그들이 알려주지 않는 투자의 원칙 (3)
[도서] 그들이 알려주지 않는 투자의 법칙 (1) [도서] 그들이 알려주지 않는 투자의 법칙 (2) [도서] 그들이 알려주지 않는 투자의 법칙 (3) 16장 - 사모펀드, 아무나 할 수는 없지만 길은 있다. 17장 -
oldnews.tistory.com
사모펀드의 수익률은 좋지만 수수료는 일반 ETF 투자 보다 20배 비싸다.
사모펀드 수수료는 2와 20이라는 개별 수수료로 구성.
- 사모펀드 운용수수료 1.5~2%
- 성과수수료 20%
- 사모펀드를 묶은 펀드오브펀드사모펀드는 이런 수수료가 2중으로 부과
사모펀드 수수료는 2가지로 이중으로 징수된다.
첫번째는 운용수수료는 펀드 관리 수수료이고 보통 2% 라고 한다.
두번째는 성과 수수료로 20%를 징수한다.
예를 들어 사모펀드와 지수 ETF 의 비용을 비교해 보자
지난 10년간 S&P500 지수가 연평균 8.5% 수익을 냈다.
사모펀드를 이용했다면 연간 관리비용 2% + 성과수수료 1.7% (20% x 8.5%) = 3.7% 를 수수료로 내야 한다.
하지만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KODEX 미국S&P500TR ETF는 실제 수수료가 연간 0.18% 만 발생한다.
고정된 비용인 수수료는 반드시 내야하는 것이라서 실제 수익률에 영향을 미친다.
버핏은 "투자 성과는 오락가락 하지만 수수료는 결코 오락가락하지 않는다" 고 했다.
즉, 인덱스 펀드 / ETF 에만 투자해도 좋은 성과를 기대하고 세금, 비용에서 유리하다고 한다.
단, 사모펀드의 수익률을 추종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이 있다.
https://oldnews.tistory.com/378
인터벌펀드interval fund, 연금펀드, TDF, 크라우드펀딩, 사모펀드 ETF 등으로 간접적으로 사모펀드에 참여할 수 있다고 한다.
https://blog.naver.com/jeunkim/223680921375
투자, 비용에 집중하라. 저비용 투자가 바람직한 이유,
"The Psychology of Money(번역서: 돈의 심리학)"의 저자 모건 하우절은 이런 논평을 내놓은 ...
blog.naver.com
'Indust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원 환율, 국민연금 전략적 환헷지로 1450원대 진 (0) | 2025.01.08 |
---|---|
잘 이해하지 못한 ETF의 수수료 부과 방법 알아보기. (0) | 2025.01.07 |
24/11월 라니냐 전망 (2) | 2024.11.29 |
커피 가격 (업데이트) (0) | 2024.11.29 |
2025년 S&P500은 6500에 올라설까? (0) | 2024.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