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요약 내용 이외에 글쓴이의 생각 혹은 외부 설명은 파랑색 글씨를 사용했다.
시장 사이클 이론, 하워드 막스
경제,금융시장이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현상 (성장기, 호황기, 쇠퇴기, 불황기가 반복)

극적인 시장 사이클
세계적으로 국가, 지역, 경제 규모에 관계 없이 경제,금융시장이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경제/금융시장은 성장기, 호황기, 쇠퇴기, 불황기가 반복하고 있다.
1. 성장기에는 영원히 상승할 것 같다
1914년 1차 세계 대전이후 낙관적으로 세계 경제는 20여년간 성장했다.
미국 주식 시장도 1921년 이후 8년간 상승중으로 투자자들은 영원히 상승할 것으로 믿고 투자를 강행
1929/10/24, 검은 목요일, 다우지수 -13% 폭락 시작.
이때를 기점으로 약12년간 하락했다.

이후 1930년대 대공황 시작이 되었고, 영원히 회복되지 못할 것 같은 경제도 2차 세계대전 이후 전후 복구를 통해 경제가 살아났다.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102121503796488
미국 경제가 무너진 날… 대공황의 시작 '검은 목요일' [오늘의역사] - 머니S
1929년 10월24일 미국 역사상 최악의 주가 폭락이 시작됐다. 훗날 "검은 목요일"로 불린 이날 미국 뉴욕 월스트리트는 주식을 팔기 위한 사람들로 몰렸다. 주식 투자에 몰렸던 미국인들은 순식간에
www.moneys.co.kr
2. 호황기에는 경제가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주가도 크게 오릅니다.
1920년대 까지의 산업생산이 늘며 성장의 호황을 누렸다.
2017년 비트코인 열풍은 새로운 황금 발견으로 소문나며 광풍이 일었다.
당시 1000달러 수준에서 2017년말에 20000달러에 다달았다.
사람들은 낙관적이 되고, 투자에 대한 열기가 고조된다.
90년말의 첨단 기술에 대한 기대로 코스닥 시장도 2000/2/7 처럼 폭등 기사가 난무했다.
대표적으로 골드뱅크커뮤니케이션스은 인터넷 광고로 15일 연속 상한가 기록, 새롬기술은 인터넷 전화로 150배 폭등 사례들로 "닷컴" 회사들의 IPO 성행, 폰지사기 형태 투자, 액면분할 등등 열기가 고조되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9052422531
'닷컴버블 붕괴'와 함께 무너진 신뢰…코스닥 '20년 침체' 불렀다
'닷컴버블 붕괴'와 함께 무너진 신뢰…코스닥 '20년 침체' 불렀다, 한국 자본시장을 뒤흔든 사건 (22) 2000년 닷컴버블의 붕괴
www.hankyung.com
3. 쇠퇴/침체기에는 불안해하고 투자를 줄인다.
코스닥 시장은 1999년 764로 시작해 6개월만에 2000을 뚫었지만 2000년 닷컴 버블이 터지며 이후 20년 이상이 지나도 지수2000선을 회복 못하고 있다.
나스닥도 2000/3월 고점에서 2002/10월 저점까지 78% 하락을 이어갔다.
S&P500도 2002/10월 저점을 찍었다.
4. 회복기에 경제가 바닥을 치고 서서히 나아진다.
회복기에는 대부분 비관적 전망하지만 기회를 포착하면 큰 수익으로 이어진다.
2000년 닷컴 버블로 S&P500도 2002/10월 저점을 찍었다.
이후 4년간 회복해 2007년경 2000년 고점을 회복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09/3월 미국 S&P500 지수 666포인트까지 하락했다.
폭락후 시장은 2009년 이후 10년간 4배 상승했다.

시장 사이클의 중요성
1. 회복기 초반에 투자를 시작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큽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09/3월 미국 S&P500 지수 666포인트까지 하락했지만, 2009년 3월 이후 투자를 시작했다면 2009년 이후 10년간 4배 상승의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
2020년 3월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급락 때 투자를 시작한 사람들은 이후 1년 동안 70%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2. 호황기 말기에 과도하게 낙관적인 전망으로 투자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발생시켰던 원인인 서브프라임 시장,
2007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조차도 "서브프라임 시장의 문제가 더 넓은 경제나 금융 시스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서브프라임이 새로운 금융의 금맥으로 인식되어 마구자비 투자를 했던 세계적 금융기관들이 파산이 이르게 되었다.
3. 투자자의 자세
하나, 장기적 관점으로 대응하자, 시장은 예측할 수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한다.
둘, 분산 투자로 위험을 관리. 주식-채권 같이 반대 성격의 자산으로 분산 투자하자
셋, 정기적으로 자산 배분, 상승장에서 일정 수익을 내고 하락한 반대 자산에 투자한다.
넷, 투자 성향과 목표를 명확이 한다.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 미국 주식 투자를 위한 하워드 막스의 시장 사이클 분석 (2) - 공포와 탐욕의 균형 (1) | 2025.03.17 |
---|---|
[ETF] 월배당 ETF의 분배금 지급기준일과 분배락 이해 (수정) (0) | 2025.03.16 |
[링크] 요약 VIX 지수와 표준편차 이해 (0) | 2025.03.08 |
S&P500 Equal Weighted 차트 (0) | 2025.01.26 |
버핏 따라하지 않기 - 1. 계약이 다르다. (1) | 2025.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