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tes

MDPI 학술지 논쟁

by 올드뉴스 2025. 4. 5.

 

MDPI(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는 오픈 액세스 과학 학술지를 전문으로 하는 출판사이다

 

1996년 스위스에서 설립되었으며, 현재 세계 최대 규모로 400개 이상의 학술지를 발간하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 결과를  오픈 액세스 방식으로 신속하게 공개하고 있다.

 

오픈 액세스(Open Access, OA) 학술지는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연구 논문, 데이터 및 기타 학술 정보를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출판 모델이다.

 

오픈 액세스 학술지들은 누구나 발행 논문에 열람 가능하고, 공유가 빠르게 늘 수 있어서 인용수가 늘 가능성이 크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반면에 빠른 공개에 따라서 피어 리뷰등에서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주요 오픈 액세스 과학 학술 출판사들은 다음 같다:

1. MDPI (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
다양한 학문 분야의 오픈 액세스 학술지를 발간하는 세계적인 출판사입니다.
빠른 출판 속도와 폭넓은 주제 분야를 다루는 것이 특징입니다.

 

2. PLOS (Public Library of Science):
과학 및 의학 분야의 오픈 액세스 학술지를 발간하는 비영리 출판사입니다.
높은 수준의 논문 심사 과정을 통해 양질의 연구 결과를 제공합니다.

 

3. BioMed Central:
과학, 기술, 의학 분야의 오픈 액세스 학술지를 발간하는 출판사입니다.
BMC 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학술지를 제공합니다.

 

4. Hindawi:
다양한 학문 분야의 오픈 액세스 학술지를 발간하는 출판사입니다.
최근에는 Wiley에 인수되어 더욱 폭넓은 출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5. Frontiers:
다양한 학문 분야의 오픈 액세스 학술지를 발간하며, 특히 학제 간 연구에 강점을 가진 출판사입니다.

 

 

국내에서 MDPI 출판사는 "부실논문" 출간의 대명사로 많은 이슈를 만들고 있다.

 

https://www.hellodd.com/news

 

 

오픈 액세스 방식의 출간은 좋은 방향성을 가진 반면에 "약탈적 학술지" 라는 취약한 심사 결과로 논란을 일으킨다.

 

약탈적 학술지는 "동료심사를 거치지 않거나 엉터리로 심사된 논문을 출판해 게재료, 수익을 얻는 출판행위" 를 말한다.  

 

InterAcademy Partnership(IAP)의 보고서에 따르면 약탈적 학술지로 평가되는 곳이 15,500개가 넘는다고 한다. [1]

 

 

이런 약탈적 학술지를 평가하고 공개하는 Beall's List 도 있다.

 

https://beallslist.net/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