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아주 위험한 프록시 지표
숫자로 측정하는 나르시시즘, 지루감, 호감도
나르시시즘이은 그리스의 나르키소스가 연못 속에 비친 자기 모습에 자기가 반해서 죽었다는 신화에서 비롯되었다.
나르시시즘이란 지나친 자기애로서 임상 장애로 판정된다.
심리학자들은 나르시시즘을 가진 사람은 타인에 대한 부당학 착취, 권력욕, 주목 받고 싶은 욕망, 오만함, 우월 콤플랙스 등으로 표출된다고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최고경영자는 나르시시즘을 가져서 많은사람의 주목을 끄는 과감한 결단을 즐기고 그 결과로 손실도 볼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노출된 인물들의 나르시시즘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어떤 지표가 필요하다.
심리학자인 아리지트 채터지와 도널드 햄브릭이 이를 시도했다.
연례 보고서에 실린 CEO 사진, 언론에 보도된 CEO 사진, 방송에 등장한 CEO의 인터뷰 횟수 등을 지표로 삼았다.
그렇지만 직접 측정하지 않는 지표같은 간접적인 프록시 측정이 "진실"을 나타낸다는 보장은 없다.
다만 빅토리아 시대, 찰스 다윈의 친척있던 학자 프랜시스 골턴은 수에 강박 집착했던 인물로 "인간의 모든 것을 측정할 수 있다" 고 주장 했다.
자신의 초상화에 붓질을 몇 번 하는지 세었고, 어떤 지점의 거리에 사람들이 통과하는데 몇 시간이 걸리는지 남몰래 관찰하기도 했었고, 카운팅 글러브란 장치를 만들어 수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골턴은 영국 내 지역별로 아름다운 여성이 얼마나 분포하는지, 유럽 각 도시의 주민들이 얼마나 거짓말을 하는지를 이 카운팅 글러브를 이용해 세어서 기록했다고 한다.
골턴은 카운팅 글로브를 사용한 처럼 프록시 측정의 대가였다.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몸 뒤척임 횟수를 측정해서 회의의 지루함 정도를 측정하고, 타인에 대한 호감도 측정을 위해서 저녘 식사 모임에 호감있는 사람쪽으로 기울여지는 것으로 생각해, 의자에 압력을 감지하는 패드를 장치해서 압력 값으로 감정을 판단하려고 했다.
프록시 측정법은 현대에도 광범위하게 쓰인다.
프록시 측정의 장점은 관찰 대상이 상황을 파악해 의지와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면 눈에 띄지 않는 지표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예를 들어 기업이 결근률, 이직률로 직업에 대한 불만족을 간접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인공위성 사진으로 야간에 촬영된 영상에서 해당 지역의 경제 활동 정도를 알 수 있다.
SNS에서 좋아요가 이런 프록시 측정의 대표적 사례가 될 수 있다. 좋아요, 친구 수가 인기의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10/22/NNQKKGTHKJEZZGELQKIOTUZGX4/
“페북·인스타 무한 알림·스크롤에 청소년 도파민 중독”
페북·인스타 무한 알림·스크롤에 청소년 도파민 중독 범죄 방조자 거대 플랫폼 美법원이 내린 판결문 전문 분석
www.chosun.com
SNS의 좋아요, 친구, 알림 등에 "”도파민 중독시킨 과도한 알림” 이라는 판결도 나온다.
좋아요가 좋은게 아닐 수 있다.
1장의 설명데로 숫자는 모든 것을 대표하지는 않는다.
문제가 많은 프록시
백신 접종이 자폐를 유발하거나 고압선 근처에 암 환자가 많다는 믿음이 있다.
실제 사실과 관계 없이 편향된 정보만 믿게 되면 위험한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즉 측정할 대상과 관계없는 프록시를 사용해서 측정을 하게 되면 측정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미국 몇몇 정치인들은 한 나라에서 이민자 수 증가로 테러리즘 위험에 대한 프록시로 삼으려고 한다.
CEO 의 능력을 연봉으로 판단한다면 높은 연봉이라는 프록시로 판단한 해당 CEO는 최고의 리더인가?
단, CEO 연봉이 골프 핸디캡을 파악하는 프록시 지료로는 좋다는 연구가 있다.
프록시 지표는 비선형적 관계가 있다.
업무 시간을 양질의 성과를 내는 지표로 했을 때 어느 수준에 이르르면 피로도, 아웃풋 질이 떨어지는 비선형적으로 나타난다. 즉 단편적 시간에 대한 양으로 측정하면 다른 측면인 피로도, 집중력 저하라는 지표는 무시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즉 관찰 대상에서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것만 중요한 프록시로 보고 사용하고 수치화 어려운 것은 무시하면 잘못된 결과로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1980년대 미국인 2000만명이 굶주린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런데 이 조사에서 푸드 스탬프 가격을 프록시로 삼았는데 당시 푸드 스탬프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은 농부들이 대부분이고 이들은 1인당 소득은 낮지만 5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단편적인 지표 1개로 대표되기 어려운 것이다.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 로버트 쉴러의 경제학, 행동 재무학 톹아보기 (4) (1) | 2025.04.05 |
---|---|
[도서] 로버트 쉴러의 경제학, 행동 재무학 톹아보기 (3) (0) | 2025.04.02 |
[도서] 로버트 쉴러의 경제학, 행동 재무학 톹아보기 (2) (1) | 2025.03.31 |
[도서] 로버트 쉴러의 경제학, 행동 재무학 톹아보기 (1) (2) | 2025.03.22 |
[도서] 숫자는 어떻게 생각을 바꿀까? (1) (0) | 2025.03.21 |
댓글